자주 하는 질문

서울디자인어워드 2025의 접수 및 심사 절차에 대해
자주 하는 질문을 모았습니다.

※ 업데이트 일자: 2025년 3월 17일

접수 자격

사람과 사회, 환경의 조화로운 관계를 지향하는 지속가능한 프로젝트를 진행한 전세계 디자이너 또는 디자이너가 포함된 모든 그룹 및 기업이 접수 가능합니다.<br> 개인 디자이너의 경우, 디자인 관련 전공자이거나 디자인 실무 경험을 보유하고, 지속가능한 프로젝트를 진행한 디자이너가 접수 가능합니다. 그룹 및 기업의 접수는 2명 이상의 디자이너, 회사, 정부, 기관 등이 될 수 있습니다. 단, 디자인 관련 전공자 또는 디자인 실무 경험을 보유한 디자이너 1인을 대표자를 지정해주시기 바랍니다.

이번 어워드는 디자인 분야가 2개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분야1] 본상에서는 5년 이내에 실현된 프로젝트로 생산, 개설되어 사용자가 있는 디자인 프로젝트만 출품 가능합니다. (2020년 6월 30일 이후 실현된 프로젝트) [분야2] 컨셉상에서는 실현되지는 않았으나 5년 이내로 실현방안이 도출된 컨셉으로 출품 가능합니다. 실현방안이란 디자인 목업, 로프로토타입, 기획 등을 말합니다.

네, 가능합니다. <br>접수시스템 페이지를 통해 등록하신 계정에서 원하시는 개수의 프로젝트를 접수 가능합니다.

네, 재 지원 가능합니다.

네, 이전에 수상했던 수상자/수상팀이 수상하지 않은 다른 모든 프로젝트들을 지원 가능합니다.

접수 방법

서울디자인어워드 홈페이지(www.seouldesignaward.or.kr.)내의 접수시스템 링크를 통해 접수 가능합니다. <br>(방문 혹은 이메일 등 별도의 방법으로 접수 불가합니다.)

먼저, 접수 페이지는 접수 시기 (2025년 3월 17일(월)부터 6월 30일(월) 오후 3시)에만 운영됩니다. <br>접수 시기중 접수 페이지 진입이 어려우시다면, 캐시와 쿠키 삭제 후 다시 시도해보십시오. 브라우저 문제일 수도 있으니, 다른 브라우저로도 시도해보십시오. 그래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seouldesignaward@seouldesign.or.kr으로 사용 브라우저, OS 환경과 오류 내용을 보내주십시오.

“접수 페이지 비밀번호 입력 화면에서 “Forgot Password”를 사용하여 비밀번호 찾기를 이용해주십시오.

아니요, 서울디자인어워드는 비영리 목적의 어워드로 접수 비용이 없습니다.

접수 마감 시간은 한국 시간으로 2025년 6월 30일(월) 오후 3시까지로, 제출한 프로젝트는 이 시간까지만 수정 할 수 있습니다. 접수 마감 기간을 여유롭게 두고 제출을 시도해주기 바랍니다. <br>붉은색 경고 표시가 뜨는 경우는 제출이 실패한 경우이니, 모든 칸에 내용이 잘 기입되었는지 확인 바랍니다. 제출 실패의 원인을 찾지 못하는 경우, 접수 마감 전까지 어워드 사무국과 확인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작성 시 유의사항

서울디자인어워드 홈페이지 내 접수시스템을 통해 이미지와 영상을 무제한으로 업로드 할 수 있습니다.<br>단, 프로젝트 설명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위주로 선정하여 업로드 하시길 권합니다.<br>만일 이미지 및 영상을 클라우드 또는 별도 플랫폼에서 공유하실 경우 접근 권한을 해제하였는지 확인 후 제출 바랍니다.

영어로만 접수해주시기 바랍니다.

일상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창의적인 디자인 해결방안과 영향력을 서울디자인어워드의 핵심가치를 포함하여 구체적으로 작성하십시오.

프로젝트 성격의 분야 적합도에 따라, 메인과 서브 디자인 분야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br>해당하는 분야 모두 중복 체크할 수 있으며 사무국 참고용으로 활용됩니다.

서울디자인어워드는 올해 UN 의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더욱 부합하기 위하여 4가지 분야를 신설하였습니다. <br>프로젝트 성격의 방향성을 잘 설명하는 분야를 선택해주시면, 심사 시 참고할 예정입니다.

기타

2차 본선 심사 통과자에 한하여 3차 심사를 위한 질의응답 및 추가 자료 요청을 위해 8~9월경 이메일로 개별 연락 드릴 수 있습니다.<br>등록하신 이메일 계정을 자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올해 서울디자인어워드는 '지속가능 디자인의 인증제' 역할을 위하여 수상자를 총 61선으로 확대하였습니다. 본상 40팀, 컨셉상 20팀, 공로상 1인에게 상을 수여할 예정입니다.

10월경 상위 10팀을 대상으로 서울에서 상위 10팀의 발표를 포함하는 Live 심사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Live 심사 시 전세계인의 투표와 심사위원들의 점수 등 총합하여 대상 1선이 선정될 예정입니다.